초창기 한국 뮤직비디오의 경향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의 뮤직비디오가 차지하는 의미와 위치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 “하여가” 뮤직비디오 분석을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and Standing of Seotaiji and Boys' Music Videos in the Trend of Early Korean Pop Music Videos -Focusing on the Music Videos of "Nan Arayo", "Huansangsokui Gudae", "Hayeoga"-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약어 : Journal of KOEN
2012, vol.6, no.2, pp. 12-23 (12 pages)
UCI : G704-SER000010539.2012.6.2.012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연구분야 : 복합학 > 학제간연구
이상윤 /Sang Yoon Lee 1
초록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2년 당시 그들의 음악으로만 충격을 준 것이 아니라 그들의 이미지적인 요소로도 대중가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92년은 국내 대중가요의 흐름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준 시기인데, 댄스 음악이 등장하면서 대중가요의 흐름은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 그 흐름이 바뀌었다. 특히 앨범의 발매에 맞추어 홍보 수단으로서 뮤직비디오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된 시점도 바로 이시기이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초기 뮤직비디오들은 음악의 리듬을 화면으로 강조하여 음악의 박절이 화면 구성의 바탕이 되고, 특히 "환상속의 그대"의 뮤직비디오는 당시 상황에서 드물게 서사성(Narrativity)을 강조하였으며, 뮤직비디오를 음악의 홍보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뮤직비디오의 완성도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본 논문은 서태지와 아이들의 초기 뮤직비디오의 분석적인 접근을 통하여 1992년에 시작된 초창기 한국 뮤직비디오의 경향에 이들의 뮤직비디오가 어떠한 의미와 위치를 가지는지 연구하였다.
Back in 1992, Seotaiji and Boys were noted not only for their music, but was also a huge influence on K-pop culture for their image-making. 1992 was an year of big changes in mainstream K-pop music, in which the advent of dance music set the trend of K-pop from audio-based to video-based. At this time, music videos were produced at full-scale as the main method of promotion sales. The early music videos of Seotaiji and Boys accentuated the rhythm of music through video images in which the meter of music created a basis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ry, as viewed particularly in the music video of "Huansangsokui Gudae"(환상속의 그대) wherein emphasis was put on to narrativity, overall optimizing the quality of the music video as it was the most effective promotion tool. This paper is a analytical research on the early music videos of Seotaiji and Boys with a discussion on what significance and standing their music videos have in the flow of early Korean Pop music videos beginning from 1992.
목차
초창기 한국 뮤직비디오의 경향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의 뮤직비디오가 차지하는 의미와 위치 :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 "하여가" 뮤직비디오 분석을 중심으로 / 이상윤 1
요약 1
Abstract 1
I. 들어가면서 1
II. 1990년대 초반 한국 뮤직비디오의 시작 배경 2
2.1. 1990년대 초반의 대중가요시장의 흐름 2
2.2. 1992년, 뮤직비디오의 시작 3
III. 서태지와아이들의초기뮤직비디오분석 3
3.1. "난 알아요" 3
3.2. "환상속의 그대" 4
3.3. "하여가" 7
IV. 한국 뮤직비디오의 초기적 경향과 서태지와 아이들 뮤직비디오의 의미와 위치 9
4.1. 초창기 한국 뮤직비디오의 경향 9
4.2. 초창기 한국 뮤직비디오의 경향에 있어서 서태지와 아이들 뮤직비디오의 의미와 위치 9
V. 나가면서 11
참고문헌 12
저자소개 12
------------------------------
원문미리보기 링크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Orte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8661